본문 바로가기
너의 고민이 나를 부를 때(고민상담)

걸핏하면 매를 드는 엄마 때문에 힘들어요

by happyunima 2024. 9. 15.
반응형

고민있어요

1 여학생이에요. 엄마는 걸핏하면 매를 드세요. 일주일에 두세 번은 매를 맞아요. 별로 큰 일이 아닌 것 같은 생각이 드는 일도.. 엄마는 중 3이 될 때까지는 매를 들겠다고 하시는데, 너무나 까마득해요. 매 맞는 게 너무나 싫어요. 매말고 다른 방법도 있을 텐데... 매를 안 맞은 방법은 없을까요? 너무 힘들어요. 도와주세요. 

울고있는-아이-그림
매 때리는 엄마 때문에 힘들어요


이렇게 상담해 주세요

 

먼저, ㅇㅇ님이 현재 느끼는 두려움과 답답함을 충분히 이해합니다. 중학교 1학년 학생으로서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이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마음이 무척 힘들 것 같아요. 엄마가 걸핏하면 매를 드신다고 하니 일주일에 두세 번씩 매를 맞는다는 것은 ㅇㅇ님에게 큰 고통일 것입니다. 특히, 별로 큰 일이 아닌 것 같은데도 매를 맞는다고 느낀다면 그 상황이 더욱 답답하고 억울할 수 있습니다. 엄마가 중학교 3학년이 될 때까지 매를 들겠다고 하시니 얼마나 까마득하게 느껴질지 이해가 갑니다. ㅇㅇ님 매를 맞는 것이 싫고, 다른 방법은 없을까 고민하고 있군요. 이제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볼 수 있을지 함께 생각해봅시다.

 

먼저, ㅇㅇ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느껴지는 것은 엄마에게 매를 맞는 것이 두렵고 싫으면서도 엄마를 미워하거나 원망하지 않는 ㅇㅇ님의 마음이 참 크다는 점입니다. 그만큼 엄마에 대한 사랑이 여전히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엄마도 ㅇㅇ님을 많이 사랑하시기 때문에 엄격하게 대하시는 것일 거예요. 하지만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 하더라도, 그 방법이 매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분명히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상황을 좀 더 깊이 이해하고 해결책을 찾아볼까요?

 

우선, 어떤 일로 인해 엄마께서 매를 드시는지 궁금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에서 매를 맞게 되는지, 그때 ㅇㅇ님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집안의 다른 형제들도 같은 방식으로 매를 맞고 있는지, 아빠도 이 사실을 알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만약 엄마가 모든 자녀에게 똑같이 엄격한 교육 방식을 적용하고 있고, 아빠도 이 상황을 알고 계시다면, 엄마가 매를 드는 것을 교육의 한 부분으로 생각하시는 것일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방식이 옳다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 내에서의 일관성 있는 교육 방법으로 여겨질 수 있겠지요.

 

그러나 만약 엄마가 오직 ㅇㅇ님에게만 매를 드신다면, 그 상황은 더욱 화나고 힘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더욱 깊은 대화와 이해가 필요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엄마가 ㅇㅇ님에게만 유독 엄격하게 대하시는 이유를 파악하고, 그 이유를 통해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화를 시작할 수 있을까요? 우선, 엄마와 대화를 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ㅇㅇ님의 마음과 생각을 솔직하게 전해보세요. 예를 들어, “엄마, 저는 매를 맞는 것이 정말 싫어요. 제가 잘못한 것이 있다면 알아서 고치려고 노력할게요. 그리고 엄마가 말씀만 해주셔도 제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요.”와 같이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해보세요. 엄마에게 ㅇㅇ님이 매를 맞을 때 느끼는 두려움과 싫은 감정을 이야기하고, 말로써 지도해 주시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이해시켜 보세요. 이 과정에서 엄마가 ㅇㅇ님에게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지, 왜 매를 드시는지를 듣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대화가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만약 엄마와 직접 대화하는 것이 어렵다면, 편지를 써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편지를 통해서는 직접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과 생각을 조금 더 차분하고 진솔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편지에 ㅇㅇ님의 고민과 감정, 그리고 엄마에 대한 바람을 적어보세요. 예를 들어, “엄마, 저는 엄마가 저를 사랑하는 것을 알지만, 매를 맞는 것이 너무 힘들어요. 저를 때리기보다는 이야기로 알려주시면 더 잘 이해하고 노력할 수 있을 것 같아요.”와 같은 식으로 자신의 마음을 담아보세요. 엄마는 ㅇㅇ님의 진심이 담긴 편지를 통해 ㅇㅇ님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엄마가 바라는 행동이나 기대에 대해 알고 나면, 그 부분을 고치거나 노력해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엄마께서 왜 그런 방식으로 교육하려 하시는지 이해하고, ㅇㅇ님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엄마의 마음도 조금씩 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대화가 단번에 모든 문제를 해결하지는 않지만, 문제를 풀어나가는 첫걸음이라는 점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엄마와 ㅇㅇ님 사이의 관계가 조금씩 개선될 수 있을 거예요.

 

마지막으로, 이 문제를 혼자서만 해결하려 하지 말고 가족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아빠나 다른 가족에게 ㅇㅇ님 의 고민을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그들의 의견이나 조언을 듣는 것도 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의 상황이 힘들겠지만, 용기를 내어 엄마와 대화를 시작해보세요. 대화와 소통을 통해 엄마의 마음을 이해하고, 엄마에게도 ㅇㅇ님의 마음을 전한다면 변화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