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울증 치료3

청소년상담사 [이상심리] 요약자료_우울 및 양극성장애(지속성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증상DSM-IV의 만성 주요 우울장애와 기분부전 장애를 합쳐 놓은 개념 핵심증상: 만성적인 우울감, 자신에 대한 부적절감,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사회적 위축, 낮은 자존감, 죄책감, 과거에 대한 반추, 낮은 에너지 수준, 생산적 활동의 감소 만성적 경과에 따른 기능적 손상(실업, 재정적 곤란, 운동능력의 약화, 사회적 위축, 일상생활의 부적응)기준2년 이상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 ① 식욕부진이나 과식 ② 불면이나 과다수면 ③ 활력의 저하나 피로감 ④ 자존감의 저하 ⑤ 집중력의 감소나 결정의 곤란 ⑥ 절망감 中 2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우울 증상의 심각도보다 지속기간에 준해서 장애 정의 특징우울장애 환자에 비해 10면 후에도 우울장애를 앓고 있을 확률 14배나 높음 치료에 대한 예후.. 2024. 9. 24.
청소년상담사 [이상심리] 요약정리_우울 및 양극성장애(우울장애) 우울장애증상가장 심한 증세를 나타내는 우울장애의 유형 우울한 기분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기분장애, 다양한 심리적 문제 동반, 고통스러운 정서상태 지속, 인지적 기능 저하 청소년: 우울장애 상태에서 분노감, 불안정하고 짜증스러운 감정 나타냄 ① 하루종일 우울한 기분 ② 삶에 대한 흥미 감소 ③ 체중감소나 증가 ④ 불면/과수면 ⑤정신운동초조 또는 지체 ⑥ 피로감 ⑦ 무가치감 또는 자책 ⑧ 사고-주의집중력 감퇴 ⑨ 자살시도 / 자살계획 또는 반복적 자살사고기준9가지의 증상 중 5개 이상의 증상이 거의 매일 연속적으로 2주 이상 나타나야 함-5개 증상 중 적어도 하나는 (1)항의 지속적 우울한 기분과 (2)항에 제시된 흥미나 즐거움 현저한 저하 반드시 포함. 심각한 고통, 사회적,직업적,기타 중요한 기능영역의 .. 2024. 9. 24.
청소년 우울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방법 알아보기 청소년 우울증의 원인과 증상, 진단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청소년의 심리 건강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청소년 우울증에 대해 바로 알고, 오늘날의 청소년들을 더욱 잘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원인1. 유전적 요인 가족력은 청소년 우울증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모나 가까운 친척 중에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청소년도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전적 요인은 우울증의 발병을 촉발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부모의 정서적, 정신적 건강 상태는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유전적 소인이 있는 청소년은 스트레스나 혼경적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2. 신경생물학적 요인뇌의 화학적 불균형, 특히 세로토닌, 도파.. 2024.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