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자격증/청소년상담사

청소년상담사 [이상심리] 요약자료_강박 및 관련 장애(피부벗기기장애)

by happyunima 2024. 9. 24.
반응형
썸네일-청소년상담사-이상심리-피부벗기기장애
강박 및 관련 장애(피부벗기기 장애)

 

 강박 및 관련 장애(피부 벗기기 장애)
증상반복적으로 피부를 벗기거나 뜯음으로써 피부를 손상시키는 행동(강박적 피부 뜯기라고 불리기도 함)
DSM-5에서 처음 강박 관련 장애의 하위장애로 포함 됨
반복적으로 피부를 만지며 문지르거나 긁거나 뜯거나 쑤심
피부가 손상되고 변색되거나 흉터가 생김
심한 경우 피부조직이 손상되어 흉한 모습이 될 수 있음
불안과 긴장이 높아지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증가: 피부 표면을 벗기거나 물거나 긁고 싶은 강박적 충동을 경험
기준하루에 짧게 여러 번 나타나지만 때로는 몇 시간 동안 지속되기도 함
손톱을 이용해서 피부를 벗기거나 뜯으며 핀셋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피부가 붓거나 상처가 생길 뿐만 아니라 죄책감이나 수치심과 같은 심리적 고통이 수반되며 자해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
피부 벗기기 장애를 지닌 사람의 12%가 자살에 관한 생각을 하며 11.5%가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고 15%는 정신과 병원에 입원한다는 연구보고가 있음
특징일반인의 경우 평생 유병률이 1.4%이상, 그 중 75%가 여성임
최근 미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 5.8%, 남성 2%가 심한 피부 벗기기 행동을 나타내고 있으며 우울증, 불안장애, 섭식장애, 물질사용장애 등의 심리적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다고 보고됨
흔히 청소년기에 여드름이 생기면서 시작되며 여드름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되면서 피부 벗기기 장애로 발전
청소년기 이후에는 30~45세 사이에 주로 발병하며 부부갈등, 가족의 사망, 원치 않는 임신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이 촉발요인으로 작용
원인피부 벗기기 장애의 원인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음
정신
역동적 입장: 미해결된 아동기의 정서적 문제
- 모발 뽑기 장애와 유사한 정신적 역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
- 특히 권위적인 부모에 대한 억압된 분노의 표현
인지행동적 입장: 일종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자기-진정하기, 자극하기)
자기-진정하기: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피부 벗기기를 통해서 기분이 나아짐, 스트레스로 인한 흥분된 각성 수준을 감소시킴
자극하기: 반복적인 활동을 하거나 지루함을 느낄 때에도 피부 벗기기 행동이 증가
피부 벗기기를 통해 신경계를 자극함으로써 각성 수준을 높이는 효과
※ 여드름과 같은 피부의 문제를 겪으면서 피부를 만지고 벗기는 행동이 습관화되고 자기-진정하기와 자극하기의 보상을 통해서 강박적인 피부 벗기기 행동으로 발전
완벽주의적 성향: 거울 앞에서 자신의 얼굴이나 피부를 몇 시간 씩 세밀하게 살펴보는 경향
- 미세한 피부의 문제를 찾아 고침으로써 완벽한 상태를 이루기 위한 것
- 피부 벗기기는 행동을 통해 입힌 상처로 인해 더욱 심한 피부의 문제가 발생하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남
- 피부 문제에 강렬하게 집착하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피부 벗기기 행동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나타남
생물의학적 입장: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피부 벗기기 충동과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
도파민 기능을 촉진하는 코카인이나 메타암페타민과 같은 약물은 피부에 벌레가 기어가는 것과 같은 가려움증을 유발함으로써 피부벗기기 충동을 촉발, 반면, 도파민을 억제하는 약물은 피부 벗기기 행동을 감소, 도파민 기능의 손상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시사함
치료약물치료+행동치료
강박장애의 치료약물이 사용(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계열의 항우울제 처방)
행동치료: 자기관찰, 습관반전훈련, 경쟁반응(피부 벗기기를 동시에 할 수 없는 것 예: 장난감 만지작거리기, 뜨개질하기, 구술 꿰기 등)을 하도록 학습, 자극통제(충동을 느끼게 되는 상태를 확인하여 회피하도록 도움)
혼자 있는 시간 줄이고 집에 거울을 없애거나 가리도록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