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소년상담사 공부하며 정리한 자료입니다.
불안장애(특정공포증) | ||
증상 | 공포증은, ‣ 범불안장애의 경우보다 훨씬 심한 강도의 불안과 두려움 포함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한정되며 회피행동을 유발 공포 대상에 따른 분류 - 특정공포증, 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사회불안장애) 특정 공포증 :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비합리적 두려움과 회피행동 유발 예시> 30대주부, 바퀴벌레로 인한 여행의 두려움->해충에 대한 공포증 특정 대상이나 상황(비행,높은 곳,동물,주사맞기, 혈액보기)에 대한 현저한 공포나 불안 경험(아동의 경우 울기, 떼쓰기, 얼어붙기, 칭얼거리기로 표현) 공포 대상에 노출될 경우 예외 없이 즉각적인 공포 반응 유발 공포를 느끼는 대상과 상황을 회피 반응 이러한 불안 반응이 실제적인 위험 및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지나침(회피행동이 6개월 이상이면 특정공포증으로 진단) |
|
기준 | 특정공포증을 공포대상의 종류에 따라 4가지 하위유형으로 구분 동물형(거미,뱀,개,바퀴벌레등 동물이나 곤충)/ 자연환경형(천둥, 번개, 높은 장소 등) /혈액-주사 상처형/상황형(폐쇄공간, 비행기,엘리베이터) : 상황형 > 자연환경형> 혈액주사상처형> 동물형 순으로 호소 |
|
특징 | 공포대상과 직면 시 극심한 공포와 불안 - 높은 예기불안 공포의 이유: 공포대상으로부터 혹은 그 상황으로부터 상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두려움 공포의 수준은 자극과의 근접성 그리고 회피 가능성과 관련 평생유병율: 10~11.3% - 남성< 여성(2배), 10대 청소년에게 많음 하위유형에 따라 발병시기가 다소 차이: 동물에 대한 공포증은 아동기에 발생하는 비율이 높음, 반면 혈액-주사-상처형은 초등학교에 주로 발병 |
|
원인 | 1. 행동주의적 학습 이론 1) 2요인 이론 고전적 조건화에 의해 공포증을 획득 조작적 조건화에 의해 공포증의 유지: 공포자극에 대한 회피가 강화유발 결과적으로 반복적인 회피행동 공포자극에 대한 노출 및 재학습 기회박탈 2) 대리학습(관찰학습) - 대리학습과 정보전이에 의해 형성 ex) 엄마의 개의 두려움이 언어, 비언어적 소통수단 전달 ->자녀도 공포반응에 대한 관찰로 개에 대한 두려움 학습 2. Seligman의 준비성(prepardness) 이론 오랜 진화 과정을 통해서 생존을 위협하는 특정 자극에 대해 공포 반응을 더 쉽게 학습하는 생물학적인 성향이 있음 ex) 뱀, 높은곳/ 빵, 책상 예민한 기질을 타고 나는 사람들 -불안가족 3. 정신분석 이론 자아에 대한 위험 신호로써의 불안 무의식상의 받아들여질 수 없는 충동들이 의식에 표출되고자 하는 압력을 발휘할 때, 위험 신호로써 불안이 작동하여, 자아는 방어적인 체제-방어기제-를 구축함으로써 불안을 다루려함(투사, 대치, 회피, 상징화 등) 특정 공포증 무의식적 갈등이 외부 대상에 투사되어 공포증이 나타남. 이때 대상은 흔히 회피할 수 있는 대상에게 공포가 대치되어 회피 행동을 통해 공포를 면하게 되는 경우가 많음 |
|
치료 | 체계적 둔감법 - 공포증에 가장 효과적 : 긴장 이완 후, 약한 공포작극부터 시작하여 점차 강한 공포자극을 노출 노출치료 : 반복적인 노출을 통해 공포자극에 적응 유도 ① 실제적 노출법: 실제로 공포자극에 노출 ② 심상적 노출법: 공포자극을 상상하게 하여 노출 ③ 점진적 노출법: 공포자극에 조금씩 점진적으로 노출 ④ 홍수법: 단번에 강한 공포자극에 직면시킴 참여적 모방학습법(접촉 둔감법) - 공포자극을 불안 없이 대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치료 이완훈련 - 신체적 이완상태를 유도하는 기술을 가르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