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울장애2

청소년상담사 [이상심리] 요약자료_우울 및 양극성장애(지속성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증상DSM-IV의 만성 주요 우울장애와 기분부전 장애를 합쳐 놓은 개념 핵심증상: 만성적인 우울감, 자신에 대한 부적절감,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사회적 위축, 낮은 자존감, 죄책감, 과거에 대한 반추, 낮은 에너지 수준, 생산적 활동의 감소 만성적 경과에 따른 기능적 손상(실업, 재정적 곤란, 운동능력의 약화, 사회적 위축, 일상생활의 부적응)기준2년 이상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 ① 식욕부진이나 과식 ② 불면이나 과다수면 ③ 활력의 저하나 피로감 ④ 자존감의 저하 ⑤ 집중력의 감소나 결정의 곤란 ⑥ 절망감 中 2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우울 증상의 심각도보다 지속기간에 준해서 장애 정의 특징우울장애 환자에 비해 10면 후에도 우울장애를 앓고 있을 확률 14배나 높음 치료에 대한 예후.. 2024. 9. 24.
청소년상담사 [이상심리] 요약정리_우울장애(파괴적기분조절장애) 우울장애(파괴적 기분조절곤란장애)증상반복적으로 심한 분노를 폭발하는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임. - 파괴적 기분조절관란 장애는 DSM-5에서 처음으로 우울장애에 포함되었음.주로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장애로서 자신의 불쾌한 기분을 조절하지 못하고 분노행동으로 표출하는 것이 주된 특징임. 기준언어적 또는 행동적으로 표현되는 심한 분노 폭발을 반복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분노는 상황이나 촉발자극의 강도나 기간에 비해서 현저하게 과도한 것이어야 한다.분노 폭발은 발달수준에 부적절한 것이어야 한다. 분노 폭발은 평균적으로 매주 3회 이상 나타나야 한다.분노 폭발 사이에도 거의 매일 하루 대부분 짜증이나 화를 내며 이러한 행동은 다른 사람(예: 부모, 교사, 동료)에 의해서 관찰될 수 있다.이상의 증상(A~D).. 2024.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