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자격증/청소년상담사

청소년상담사 [이상심리] 요약자료_우울 및 양극성 장애(월경전기불쾌장애)

by happyunima 2024. 9. 24.
반응형

썸네일-청소년상담사-이상심리-월경전기불쾌장애
우울 및 양극성장애(월경전기불쾌장애)

 

  월경전기 불쾌장애
증상 월경이 시작되기 전 주에 정서적 불안정성이나 분노감, 일상 활동에 대한 흥미 감소, 무기력과 집중곤란 등의 불쾌한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장애
가임기 여성의 70~80%는 월경이 시작되기 직전에 유방 압통, 더부룩함, 정서적인 불안정감, 짜증스러움과 같은 다양한 징후를 경험함
월경전기 증후군: 20~40%의 여성들은 월경전기의 징후가 심하여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음
기준 아래 중 5가지 이상
현저한 정서적 불안정성(: 기분동요, 갑자기 슬퍼지거나 눈물이 남, 거절에 대한 민감성의 증가)
현저한 과민성이나 분노 또는 대인관계 갈등의 증가
현저한 우울 기분, 무기력감 또는 자기 비하적 사고
현저한 불안, 긴장 또는 안절부절 못한 느낌
일상적 활동(: , 학교, 친구, 취미)에 대한 흥미의 감소
주의집중의 곤란
무기력감, 쉽게 피곤해짐 또는 현저한 에너지 부족
식욕의 현저한 변화(과식 또는 특정한 음식에 대한 갈망)
과다 수면증 또는 불면증
압도되거나 통제력을 상실할 것 같은 느낌
신체적 증상(: 유방 압통 또는 팽만감, 관절 또는 근육의 통증, 더부룩한 느낌, 체중증가)
특징 월경전기 불쾌장애의 유병률은 여성의 3~9%
우울장애, 양극성 장애, 불안장애와 공병률이 높음
월경전기 불쾌장애를 나타내는 여성들은 과거에 성적, 신체적 학대를 당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외상 경험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독립적으로 월경전기 불쾌장애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
원인 주요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 월경주기마다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과 뇌에서 나오는 신경전달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
- 신경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이나 5-HT수준의 변화가 정상적인 호르몬 주기와 작용하여 중추신경계의 민감성을 상승시킨 결과
주관적인 고통: 신체적인 증상뿐만 아니라 증상을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Blake: 매달 일어나는 생리적인 변화로 인해 일어나는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대해서 여성은 인지적인 평가를 하게 됨. 월경전기 증후에 대한 잘못된 귀인이나 부정적 평가는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음
- 월경전기 증상으로 많이 보고되는 우울감, 불안이 실제로는 경미한 것일 수 있지만 신체적인 변화에 의한 것이고 따라서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고 인식하게 되면 더욱 고통스럽게 지각 될 수 있음
월경전기 불쾌장애를 지닌 여성들은 자신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지니거나 자신과 타인을 모두 돌보아야 한다는 과도한 책임감을 지니는 등 부적응적인 신념을 지니는 경향이 있음
치료 약물치료+인지행동치료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비롯한 항우울제가 증상완화에 도움
내담자에게 월경 전기에 경험하는 사건들을 상세히 기술하게 하고 그러한 사건과 관련된 사고와 감정을 인식하게 함
월경전기 징후와 관련된 잘못된 신념과 불쾌 감정을 초래하는 부정적 사고를 현실적인 사고로 변화시키는 인지적 재구성의 과정이 포함됨
식이요법(증상을 악화시키는 카페인, 당도나 염분이 높은 음식, 술 등을 피하고 비타민, 칼슘, 마그네슘 등을 복용하도록 도움
유산소 운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