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불안장애(분리불안장애) | ||
증상 | 어머니를 위시한 애착대상과 떨어지는 것에 대해서 심한 불안을 나타내는 정서적 장애(어머니가 시장을 가거나 유치원에서 어머니와 떨어질 때) - 아동이 애착대상과의 분리에 대해서 발달단계를 고려했을 때 부적절하고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나타낸다면, 분리불안장애라고 할 수 있음. | |
기준 | 다음 증상 중 3개 이상을 6개월 이상 나타낼 때, 분리불안장애로 진단 ① 주요 애착대상이나 집을 떠나야 할 때마다 심한 불안과 고통을 느낀다. ② 주요 애착 대상을 잃거나 그들에게 질병, 부상, 재난 혹은 사망과 같은 해로운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걱정한다. ③ 애착 대상과 분리될 수 있는 사건들(예: 길을 잃음, 납치 당함, 사고를 당함, 죽음)에 대해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걱정한다. ④ 분리에 대한 불안 때문에 밖을 나가거나, 집을 떠나거나, 학교나 직장 등에 가는 것을 지속적으로 거리거나 거부한다. ⑤ 혼자 있게 되거나 주요 애착 대상 없이 집이나 다른 장소에 있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과도한 공포를 느끼거나 꺼린다. ⑥ 집을 떠나 잠을 자거나 주요 애착 대상이 근처에 없이 잠을 자는 것을 지속적으로 거리거나 거부한다. ⑦ 분리의 주제를 포함하는 반복적인 악몽을 꾼다. ⑧ 주요 애착 대상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분리가 예상될 때 반복적인 신체 증상(예: 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호소한다. |
|
특징 | 분리불안장애를 지닌 아동은 부모, 특히 어머니가 옆에 있어야 안심하고 헤어져 있을 때는 어머니나 자신에게 나쁜 일이 생겨서 서로 보지 못하게 될까봐 불안해한다. 자꾸 전화를 걸어서 어머니의 존재를 확인. 혼자 집에 있지 못하고, 잠을 잘 때 어머니가 옆에 있어야 안심하며, 어머니와 헤어지거나, 어머니나 자신에게 사고가 나는 등의 분리를 주제로 한 꿈을 많이 꿈. 복통, 두통 등의 잦은 신체증상을 보여 무의식적으로 어머니의 관심과 사랑을 구하기도 한다. 학령기 아동은 분리불안이 등교 거부로 나타남. 유병률 : 아동청소년집단에서 약 4%, 여자아동 > 남자아동, 연령이 증가 청소년기에 가까워질수록 유병률이 낮아진다. 주로 18세 이전 발생. - 나이가 많아질수록 아동은 강도와 같은 특정한 위험에 대한 공포나 걱정으로 분리불안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청소년기의 소년들은 분리불안을 부인하지만 집을 떠나는 것을 주저하거나 제한된 범위 내에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드물지만 성인에게도 나타날 수 있음. 이 경우 성인은 이사나 결혼과 같은 새로운 변화를 두려워하거나 자녀나 배우자에 대한 과도한 걱정 또는 그들과 헤어지는 것에 대한 과도한 불안을 나타낼 수 있음. |
|
원인 | 유전적 기질,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인지행동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심리적 장애 분리불안장애를 나타내는 아동의 부모는 어린 시절에 그와 유사한 장애를 나타낸 경우가 많으며, 쌍둥이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딸 사이에 유전적인 영향을 더 강하게 나타남. 행동억제기질을 타고난 아동에게 나타나기 쉬우며, 특히 이러한 기질의 아동이 부모와 불안한 애착관계를 맺게 되면 역기능적 신념과 미숙한 사회적 능력을 갖게 되어 분리불안장애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아짐.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행동 : 부모와 불안한 애착유형을 지닌 아동, 부모의 과잉보호적인 양육행동. 분리불안장애는 지나치게 밀착된 가족, 과잉보호적인 양육태도의 부모, 의존적 성향의 아이. 부모가 무의식적으로 아이와 떨어지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불안장애를 지닌 경우에도 발생가능성이 높다. 부모의 질병, 동생의 출생, 어머니의 직장 출근, 이사, 전학, 부모 다툼 등과 같은 불안유발사건이 아동의 분리불안을 증가 인지행동적 입장 : 애착대상에 대한 인지적 왜곡에 의해서 유발. 인지적 왜곡이 강한 불안을 유발. 분리불안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모호한 상황을 더 위험한 것으로 해석,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자신들의 능력은 더 낮게 평가했다. |
|
치료 | 행동치료 : 체계적 둔감법, 감정적 심상기법, 모델링, 행동강화법.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지행동치료 : 아동의 역기능적 믿음과 생각이 분리불안 행동을 야기한다는 가정에 근거함. 언어적 표현능력이 미숙한 아동에게는 놀이를 통해서 불안을 표출하고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놀이치료가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