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자격증/청소년지도사

청소년지도사 [청소년활동론] 과제(청소년활동시설 프로그램)

by happyunima 2024. 9. 10.
반응형
썸네일-청소년지도사-청소년활동론
청소년지도사 [청소년활동론]
청소년활동시설 프로그램 비교 분석

 

서론

 
본 과제에서는 청소년활동진흥법상 청소년활동시설에 대해 알아보고, 그 중 시설 2개소를 선정하여 각 시설의 프로그램에 대해 구조적으로 정리 및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선정한 두 시설은 M쉼터와 K쉼터이다. 이 두 쉼터는 서울에 있는 몇 안되는 쉼터 중 하나로써 K쉼터는 20여년이 넘은 쉼터이며, M쉼터는 이제 갓 3여년이 지난 신생쉼터에 속한다. 이러한 신, 구간의 같은 종류의 쉼터를 비교해 봄으로써 각 기관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

 
청소년시설의 종류구분을 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시설은 청소년활동시설, 청소년보호시설, 청소년복지시설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청소년활동시설은 다시 청소년수련시설과 청소년이용시설로 나눌 수 있다.
 
청소년수련시설은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 집,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의 6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청소년수련관은 다양한 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기설 및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이며, 청소년수련관은 숙박기능을 갖춘 생활관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과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이다. 청소년문화의 집은 간단한 수련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곳으로 시설과 설비가 구비되어 있으며 정보, 문화, 예술 중심의 수련활동을 운영한다. 청소년특화시설은 특정목적의 청소년활동 전문적 실시(직업체험, 문화체험, 과학정보, 환경 등)할 수 있는 시설과 설비를 갖춘 수련시설이다. 청소년야영장은 야영에 적합한 시설과 설비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련거리, 야영편의시설을 제공하는 수련시설이다. 마지막으로 유스호스텔은 청소년 숙박체제 시설로 부대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며, 숙식편의와 여행청소년의 활동지원 등을 하는 시설을 말한다.
 
청소년이용시설은 수련시설이 아닌 시설로서, 시설 설치목적의 범위 내에서 청소년활동 실시와 청소년의 건전이용 등을 위해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 청소년이용시설의 유형으로는 문화시설, 과학관, 체육시설, 평생교육시설, 사회복지관, 자연휴양림, 수목원, 시민회관, 어린이회관, 공원, 광장, 고수부지, 기타 공공시설 중 수련활동이나 여가선용에 적합한 시설 등을 말한다.
 
위에서 이제 설명한 청소년수련시설 중 2개 기관의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한다.(자료는 2016년 각 쉼터 사업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구분M쉼터K쉼터
미션∙비전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청소년쉼터
위기청소년의 힐링, 성장, 꿈 실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가출청소년 토탈 서비스 쉼터로 정착
가출청소년의 쉼과 회복, 성장을 돕는 희망충전소
구성5개 분야 4개 사업
56개 프로그램
4개 분야 4개 사업
60개 프로그램
사업분야상담사업, 교육문화사업
보호활동사업, 기타사업, 특별사업
상담사업, 교육문화사업,
단기보호사업, 기타사업
연계획 목표483회 / 28,659명52,161회 / 71,718명
총예산284,213,000원298,978,000원
특화프로그램지역주민 대상 바리스타 프로그램
주변지역 자연환경 활용한 아침 산책프로그램
청소년 봉사활동 프로그램
자립지원 프로그램 활성화
특징주중 상설 프로그램 운영
심층 심리치료프로 그램
(사이코드라마,춤테라피 등)
수련활동인증제 프로그램 다수
계절별 캠프 프로그램 운영
기초생활 및 습관교육 프로그램

 

결론

 
서울시내에 존재하는 몇 안되는 쉼터로서 서로 때론 경쟁자로 때론 동지로서 교류하기는 했지만 구체적으로 사업을 들여다 보며 비교분석해 본 적은 없었던 듯하다. 과제 시기가 감사일정과 겹쳐 좀 더 많은 시간을 과제에 할애하지 못해 필자가 본디 하고 싶었던 깊은 세부적, 체계적인 분석단계에 미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각 쉼터의 커다란 특성과 특화프로그램 및 운영방침 등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후에 다시금 기회가 된다면 본 쉼터 사업계획시 타 쉼터의 사업 프로그램과 그 특성과 운영방법 등에 대해 좀 더 깊이 비교분석하는 시간을 가져, 타쉼터의 좋은 점은 본 쉼터에 적용하여 본 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에게 보다 힐링과 성장의 쉼터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