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자격증/청소년상담사

청소년상담사 [이상심리]요약자료_강박 및 관련장애(신체변형장애)

by happyunima 2024. 9. 23.
반응형

 

썸네일-청소년상담사-이상심리-신체변형장애
강박 및 관련장애(신체변형장애)

  강박 및 관련장애(신체변형장애)
증상 신체변형 장애 : 자신의 외모가 기형적이라고 잘못된 집착을 하는 경우, 신체추형장애, 신체기형장애
신체적 외모에 대해서 한 개 이상의 주관적 결함에 과도하게 지박하는 것이 주된 증상
기준 외모에 대한 상상적 결함에 집착, 가벼운 신체적 이상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지나친 집착 (외현적 행동 : 거울보며 확인, 지나치게 몸치장, 피부 벗기기, 안심 구하기/내현적행동 :외모를 타인과 비교)
집착으로 인한 사회적 직업적 다른 중요 기능 영역에서 심각한 고통 받는다.
열등감, 자신감 상실, 외모관찰 및 과도한 치장으로 인해 시간소비
특징 유병률(일정기간 장소의 조사): 극히 낮다는 보고 또는 2% 수준의 보고도 있음
대부분 피부과, 성형외과 방문 - 시작 : 15-20세 사춘기 발생
미혼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 - 남녀 비율은 여성이 약간 높음
촉발요인: 외모에 대한 타인의 언급
원인 1) 정신분석적 입장
어린 시절의 심리성적 발달과정에서 특수한 경험을 하고 상징적인 연관성을 지닌 특정한 신체부위에 집착 ( 무의식적인 성적 또는 정서적 갈등이 신체부위에 대치되어 나타나는 것)
2) 인지행동적 입장
신체적 외모의 매력을 일반인들보다 더 민감하게 느낌
사회적 상황이나 외모와 관련된 평가를 일반인보다 더 부정적이고, 위협적인 것으로 해석
인지행동적 모델(Veale, 2004)


3) 생물학적 입장
세로토닌과 관련(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물질로서, 정서 및 본능 관장)
다른 정신장애(정신분열증, 기분장애, 성격장애)로부터 기인
사회나 문화속에서 존재하는 미모에 대한 개념의 영향
치료 1)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사용한 약물로서 망상적 수준의 신체변형 장애를 지닌 일부 환자의 증상을 완화
2) 노출 및 반응방지법
인지행동적 치료방법, 경미한 증상에 효과적
강박장애의 반복적 증세와 유사하여 강박장애의 치료와 동일하게 적용한다는 주장 있음
회피적 행동 줄이고 건강한 행동 증가
심리교육과 인지재구성 방법 적용
역기능적인 사고의 수정
부적응적 신념을 합리적인 신념을 지니도록 유도
ex) 부정적사고 : 나는 괴물같이 보여, 누가 좋아하겠어
역기능적 신념 : 외모가 추하면 나는 무가치해, 성공하려면 외모가 중요해
역기능적 신념을 파악하여 수정하도록 돕는다.(외모가 아닌 다른 부분으로 자신의 가치감을 느낄수 있도록)
지각 재훈련 : 선택적주의(염려하는 신체부위만 바라봄)가 아닌 자신의 신체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돕고 신체적 결함을 제외한 다른 신체부위에 관심을 갖도록 돕는다.
반응형